[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문화일보 기자들이 회사에 인력 충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허리급’ 기자(중간연차 기자)들이 잇달아 퇴사했다. 문화일보 기자들은 “퇴사자는 기자로서 미래를 문화일보에서 찾지 못했던 것”이라면서 “올해 중 수습기자를 공개채용하라”고 밝혔다.

현재 문화일보 취재인력은 타사 대비 부족한 실정이다. 문화일보 사회부 법조팀 기자는 4명, 정치부 기자는 12명이다. 조선일보(법조팀 8명), 중앙일보(정치부 21명)와 비교해 절반 수준이다. 경찰 담당 기자는 5명으로 동아일보(14명)의 3분의 1 정도다.

문화일보 CI

퇴사자도 늘고있다. 지난 3년간 기자 16명이 문화일보를 떠났다. 수습공채 기자 15기 9명 중 4명, 16기 9명 중 4명, 17기 3명 전원, 18기 4명 중 3명, 19기 6명 중 3명이 퇴사했다. 퇴사자 대부분은 기업체가 아닌 다른 언론사로 이직했다.

문화일보 기자 28명은 지난달 25일 인력 충원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기자들은 “문화일보에서 '미래'는 사치가 됐다”면서 “일선은 취재와 기사 작성이라는 기본 업무만 해내기도 벅찬 상황이다. 깊은 호흡의 기획과 소위 특종 단독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수습기자 충원을 요구했다. 기자들은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부터 2년 연달아 공개채용을 하지 않았다”면서 “비용 때문이라면 서류전형 합격자 수를 줄여 사옥 10층에서 필기시험을 치르고 면접전형 강화 등 대안이 필요하다. 수습기자가 당장 성과 내기는 어렵지만 회사 발전의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기자들은 “경력직 채용 또한 체계적으로 공개 진행해야 한다”면서 “연수자·휴직자 등으로 인력 공백이 발생하고 나서야 경력직을 물색하는 것이 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회사로부터 신문 판매 영업을 요구받았다고 털어놨다. 기자들은 “지난해 지면 혁신에 대한 논의에서도 현장 화두는 인력난”이라면서 “현장 기자들은 콘텐츠 강화와 아이디어를 요구받았다. 독자 코너로 기획했던 ‘그립습니다’ 출고와 신문 판매 영업까지 요구받았다”고 밝혔다. 기자들은 “문화일보는 우리 젊음을 걸어도 되는 곳인가”라면서 “전 부서별 인력 실태와 필요 인원을 점검해 올해 중 수습기자를 공개채용하라. 또 '20만 부수' 아닌 현시대에 걸맞은 비전의 근거와 실행계획을 밝혀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