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마스크 사려고 난리인데…정부는 마구 뿌리고 있었다>, <대구 아침부터 마스크 구매 행렬…마트엔 라면·생수 동나>, <마스크 1100만 개 찍어도 ‘품귀’…뒷북 수출제한>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품귀현상을 지적한 이같은 보도들은 2월 24일~26일 조선일보·중앙일보에 게재됐다. 마스크를 구독료 자동이체 ‘미끼’로 활용하고 있는 조선일보·중앙일보가 다른 한편에서는 마스크 사재기와 정부 대책을 비판해온 것이다.

조선일보는 25일 14면 <마스크 사려고 난리인데…정부는 마구 뿌리고 있었다> 보도에서 정부·지자체가 국내 마스크 생산분을 가장 많이 가져간다고 썼다. 조선일보는 “문제는 정부를 통해 공급되는 마스크의 상당수가 정말 마스크가 필요한 ‘수요자’ 아닌 곳에 낭비되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의료진·복지관에 배포한다더니, 주민센터 등에 뭉텅이로 놔뒀다”고 했다.

조선일보 2월 25일자 14면

해당 기사와 같은 면에는 대구·경북 주민들이 마스크를 사려 마트에 줄을 서는 사진 기사를 배치했다. 또 ‘구독료를 자동이체하면 마스크세트(3개입)를 준다’는 알림 기사가 있었다. 마스크 품귀 현상을 지적하는 보도·사진기사 옆에 마스크를 미끼로 한 구독료 자동이체 권장 알림이 함께 있는 것이다.

중앙일보는 24일 4면 <대구 아침부터 마스크 구매 행렬…마트엔 라면·생수 동나> 기사에서 대구 지역 마스크 구매 대란 풍경을 담았다. 중앙일보는 대구 서구에서 마스크를 사기 위해 긴 줄을 선 주민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중앙일보 역시 같은 날 16면에 ‘구독료를 자동이체하면 마스크(5장)을 드린다“는 알림 기사를 냈다.

중앙일보는 26일 5면 <마스크 1100만 개 찍어도 ‘품귀’…뒷북 수출제한> 기사에서 정부의 마스크 수급 대책을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하루 1100만 개씩 생산한다는 국산 마스크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라면서 “500~1000원 하던 마스크가 4000원 이상에 팔려나가고, 그마저도 없어 못 사게 되는 동안 정부는 뒷북 대책만 반복했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는 정부의 마스크 수출규제 정책·매점매석 행위 금지 고시가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조선일보·중앙일보 구독료 자동이체 전환자를 가늠할 순 없지만, 행사를 진행하기 위해선 막대한 양의 마스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조선일보는 10일 “구독료 자동이체를 신규 신청하는 독자 1만 명에게 마스크 세트(3개입)을 드린다”는 알림 기사를 낸 바 있다. 조선일보는 행사를 위해 최소 3만 개 이상의 마스크를 구비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26일 MBC <이승원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때문에 마스크가 모자라다’며 별별 방법으로 비판을 해놓고 본인들이 마스크로 판촉한다는 것은 매우 부끄러운 행태”라고 지적했다.

김언경 처장은 “세월호 참사 당시 ‘세월호 배지’를 판매하는 것에 대해 ‘세월호를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을 받았다”면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마스크 행사 알림 기사가 실리기 이전에 마스크 사재기, 마스크 부족 사태를 지적하는 보도들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김언경 처장은 “굉장히 민망한 상황”이라면서 “코로나19를 이용해서 독자를 늘려가려는, 특히 자동이체를 신청하라는 모습이 약간 부끄럽다는 생각이 든다. 신문 구독 시 (마스크를) 주는 것보다는 정부가 무상공급하는 것이 훨씬 좋겠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