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지난 15일 KBS <저널리즘 토크쇼J>에서는 KBS ‘9뉴스’와 MBC ‘뉴스데크스’의 단독 보도를 두고 비교 분석한 시청자의 글을 다뤘다. 조국 보도 사태와 MBC <PD수첩>의 ‘검찰기자단’ 편 방송 이후 ‘검찰발 보도’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진행자인 정세진 아나운서는 “한 시청자가 저널리즘 토크쇼J 온라인카페에 12월 5일 KBS와 MBC의 단독 보도를 비교했다”며 “KBS는 검찰의 시각이고, MBC는 레미콘 사장을 취재하는 과정까지 담백하게 담아냈다고 평했다”고 전했다.

지난 15일 KBS <저널리즘 토크쇼J> 화면 갈무리 (사진=KBS)

지난 5일 MBC ‘뉴스데스크’는 <단독/ 1달 전에도 업체 제보 있었다…“김기현 관련 유착”>을 보도했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측근 비리 의혹을 청와대에 처음 제보한 게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이 아닐 수 있다는 내용이다. MBC는 취재 결과, 한 레미콘 업체 대표가 송 부시장보다 한 달 먼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직접 제보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MBC는 A 레미콘 업체 사장이 2017년 9월 7일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에 우편으로 보낸 진정서를 보냈으며 청와대로부터 “보내준 제보를 검토해 봤다며 울산시의 행정에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레미콘 업체 사장을 만나는 장면을 방송에 그대로 담았다.

KBS는 같은 날 ‘뉴스9’ <단독/ 송병기가 만들어낸 또 다른 제보 루트 확인…검찰, 문건 확보>에서 MBC와 동일한 내용을 보도했다. 다만, “검찰은 알려진 내용을 전했을 뿐이라는 송 부시장 말과 달리, 김기현 당시 사장에 대한 의혹이 수사로 이어지도록 하려는 의도가 있었는지에 주목하고 있다”는 검찰의 입장을 덧붙였다.

또 KBS는 송 부시장을 만난 적이 있다는 경주의 한 레미콘 업체 관계자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 진정서를 제보하게 된 경위를 밝히며 “해당 레미콘 업체의 제보 내용은 2018년 3월 울산시청을 압수 수색했던 경찰의 수사착수 배경과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레미콘 업체의 진정 내용은 오늘 송 부시장이 밝힌 아파트 건설 관련 의혹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고 실제 경찰 수사로까지 이어진 건”이라며 “검찰은 레미콘 업체 관계자를 불러 송 부시장과의 만남에서 무슨 얘기를 들었는지 선거 관련 얘기가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날 <저널리즘 토크쇼J>에 출연한 엄경철 보도국장은 “KBS 보도는 결이 조금 다르다”며 “송 부시장은 송철호 선거캠프에 있었고 김기현 시장의 시각으로 보면 정치적 반대편에 있던 사람이 청와대가 제보해서 수사로 이어진 ‘정치적 기획의도’가 있지 않냐는 의심을 취재기자가 하지 않았나 추론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의심이 검찰 측의 의심과 같다고 시민 비평은 말씀하시는 것”이라며 “그런 평가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취재기자 측에서는) 이런 반론이 있을 수 있다. '그것이 검찰발 의심이라고 비합리적인가. 그 의심을 할 수 없는 것인지' 반론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정준희 한양대 언론정보대학 겸임교수는 “KBS와 MBC가 취재한 대상이 다른 것 같아 직접 경쟁하는 보도는 아니다”라며 “KBS는 검찰에 기울어졌고 MBC는 그렇지 않다고 보기 어렵다. 굳이 하나를 짚자면 KBS의 보도에서 송병기 역할론을 굳이 강조할 필요가 없었고, MBC는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을 더 알려준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정세진 아나운서는 “검찰은 ~할 예정이다 등 기승전 검찰 입장이 들어가면 단독 취재를 하더라도 시청자가 느끼기에 검찰의 흘리기를 받아썼다고 오해할 만하다”고 짚었다.

이날 방송에서 엄 국장은 출입처 폐지 선언 이후 한 달 동안의 보도국 내부 변화에 관해 설명했다. “내부 게시판에 여러 비판과 우려, 걱정의 글들이 올라오는데 ‘현실성 없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가장 많다”고 전했다.

정준희 교수는 출입처 폐지 방침을 밝힌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기자들이 (출입처 기자단이 운영되는) 지금을 그렇게 나쁜 게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변화의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엄 국장은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 언론이 비슷한 기사를 양산해내고 관점도 균질화되어 있어 뉴스 이용자들의 수준이 높아져있는데 이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고민이 많았다”며 “지금까지는 뉴스에 사실을 축적해왔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여론 형성에 적절한 기능을 해야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