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포스터만 봐도 <줄리아의 눈>이 어떤 영화일지는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바로 시각장애를 가진 여성이 등장하는 미스터리/스릴러 영화라는 것입니다. 사실 시각장애만큼 동류의 장르에서 탐낼 만한 소재도 흔치 않습니다. 실제로 비슷한 영화가 꽤 있었는데, 지금 당장 예를 들어보려고 하니 <블링크, 디 아이>가 떠오르네요. 두 영화 모두 시각장애인이 이식수술로 시력을 회복한 후에 기이한 일을 겪습니다. <블링크>의 경우에는 살인사건의 범인을 목격하고, <디 아이>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보이기 시작하죠.

<줄리아의 눈>은 앞의 두 영화와 같으면서도 조금 다른 소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블링크, 디 아이>가 주인공이 시력을 회복한 후에 겪게 되는 이야기라면, 반대로 <줄리아의 눈>은 시력을 잃어가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을 담았습니다. 물론 모든 장애가 그러하지만 특히 시각을 잃는 사람은 일상에서도 가장 큰 공포를 느끼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될 듯합니다. 일차원적으로 보자면 만물의 존재를 인식한다는 것은 곧 시각적으로 확인한다는 것과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시각을 상실한 자가 겪는 고통은 외부세계와의 단절에서 오는 고독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겁니다.

시각을 잃은 후에 인식의 도구로 삼을 수 있는 것은 청각입니다. <줄리아의 눈>에서 묘사하듯이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아도 소리가 들린다면 거기에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식의 매커니즘에서 시각과 청각의 우선순위를 나누는 근거는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이 어떤 감정으로 엮여있는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귀로 듣는 것보다는 눈으로 보는 것을 더 선호하기에 화상전화기가 발명된 것이겠죠. 또한 화상전화기의 탄생 후에 생긴 부작용 - 구속과 감시 - 도 인식에서 시각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줄리아의 눈>은 주인공 줄리아의 쌍둥이 언니 사라가 자살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던 두 사람 중에서 먼저 시각을 완전히 상실한 사람이 사라였습니다. 그럼에도 잘 이겨냈던 언니가 자살하자 줄리아는 석연치 않게 여기고 자체 조사(?)에 착수합니다. 이를 옆에서 지켜보던 남편은 줄리아를 걱정하지만, 그녀는 아랑곳하지 않고 이웃집을 방문해 이것저것 물어보는가 하면 언니가 다니던 시각장애자 센터에도 방문합니다. 이 과정에서 뭔가가 있다는 것을 눈치 채고 깊이 파고들수록 줄리아의 시력은 점점 더 약해지기 시작합니다.

앞서 시각장애를 어쭙잖게 논한 것은 <줄리아의 눈>이 그 특성을 능숙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극의 대부분이 차단된 공간을 무대로 삼는 것도 그렇지만, 우리가 시각 - 청각의 순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줄리아와 남편의 대화를 통해 드러내고 있습니다. 단순히 드러내는 것만이 아니라 청각마저 기능하지 못한다면 시각장애인이 얼마나 큰 공포에 사로잡히는지를 훌륭하게 묘사합니다. 대표적으로 오프닝이 그렇습니다. <줄리아의 눈>은 자살에 이르는 사라를 보여주는 과정에서 독특한 범인의 캐릭터를 잘 살려, 관객에게도 마치 시각장애인이 된 듯한 공포심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오프닝 외에도 <줄리아의 눈>에는 시각장애인이라는 소재를 십분 활용하는 대목이 꽤 많습니다. 그 목적은 대부분 관객들에게도 제한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시각장애를 가진 주인공과 동일시하게 만드는 데 있습니다. 줄리아가 이식수술을 하고 언니의 집으로 돌아온 후부터는 주변인의 얼굴을 일절 보여주지 않기도 하죠. 보통 인식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인식의 대상이라면 판별의 기준은 얼굴이 됩니다. 따라서 화면을 보고 있긴 하지만 얼굴을 보지 못하니 실질적으로 관객의 입장은 줄리아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 밖에도 <줄리아의 눈>은 감정이입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공포심을 조장하는 데 탁월한 연출력을 선보입니다. 다만 연출에 미치지 못하는 시나리오에는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영화를 보면서 사소한 것이라도 하나 거슬리면 좀처럼 관대한 입장이 되질 못하는 편입니다. <줄리아의 눈>에 그런 요소가 몇몇 있습니다. 언니가 자살하게 된 원인을 남편이 말해주지만 줄리아는 납득하지 않고 사건에 계속 매달리는 것이나, 일생일대의 수술을 마치고 안정을 취해야 함에도 병원을 나가는 것은 그렇다 쳐도, 굳이 언니가 자살한 집으로 간다는 것은 개연성이나 설득력이 부족합니다.

범인과 줄리아&사라 그리고 제3자와 범인 사이에 얽힌 심리는 다소 혼란스럽습니다. 범인의 캐릭터를 구축하게 된 배경과 범행동기는 비교적 뚜렷합니다. 그에 반해 범인이 각 인물과의 관계에서 갖는 심리는 제각각이랄까요? 스포일러라 자세히 말할 순 없지만 일관성이 부족해 보여 이 또한 설득력이 좀 떨어집니다. 아울러 <줄리아의 눈>에 숨겨진 이야기, 즉 범인이 누구이고 정체는 무엇인지 등이 담긴 결말부의 반전을 예측하기란 어렵지 않습니다.

★★★☆


덧) 인명의 표기방식은 통일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한문은 한글식 한자음이 아니라 거의 원어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연걸은 리렌제, 장백지는 장바이쯔 등. 근데 희한하게도 영어는 한글식 발음을 고집합니다. <해리 포터>의 '헤르미온느'는 '허마이어니'에 가까운데 말입니다. '오렌지'를 '어륀지'라고 발음해야 한다며 영어를 추앙하는 나라가 남의 이름은 왜 함부로 막 바꾸나 모르겠군요. 심지어 <줄리아의 눈>은 스페인 영화라 '줄리아'가 아닌 '훌리아'더군요.


영화가 삶의 전부이며 운이 좋아 유럽여행기 두 권을 출판했다. 하지만 작가라는 호칭은 질색이다. 그보다는 좋아하고 관심 있는 모든 분야에 대해 주절거리는 수다쟁이가 더 잘 어울린다.
*블로그 : http://blog.naver.com/nofeetbird/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