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KBS의 강원 산불 재난방송을 한 KBS 기자가 "뻔한 소리만 하고 말았다"며 반성문을 썼다. 피해상황과 대피요령 등 재난보도에 필수적인 정보를 전하지 못한 채 '시내 쪽으로 불이 번지고 있다'는 수준의 재난방송을 반복했다는 반성이다.

강원 산불 현장에서 12시간 동안 속초 현지상황을 전했던 박영민 KBS 사회부 기자는 최근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노보에 '뻔한 소리만 해서 죄송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박 기자는 "현장 상황을 간략하게 적은 원고를 올리고 MNG(Mobile News Gathering, 방송용 카메라를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방식)연결을 준비했다. 그 사이에도 불길은 쉴새 없이 시내 쪽으로 향하고 있었다"며 "스튜디오에서 현장에 있는 제 이름을 불렀을 때, 순간 무슨 말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머릿속이 새하얘졌다.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박 기자는 "속초로 출발하기 전에 선배는 보이는 대로 현장 상황을 설명하면 된다고 했지만, 보이는 건 불과 연기뿐이었다"며 "결국 이곳이 어디인지, 주변엔 무엇이 있는지 알지 못한 상태에서 불이 시내 쪽으로 번지고 있다는 수준의 '뻔한 소리'만 하고 말았다"고 반성했다.

이어 박 기자는 "당초 계획과 달리 특보는 동이 틀 때까지 계속됐고, 현장에서 뻔한 소리는 계속 방송으로 전달됐다. 불이 난 곳을 찾아 장소만 옮겼을 뿐 정보의 질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면서 "그나마 속초에서 지역순환근무를 했던 촬영기자 선배 덕분에 지명이나 불길의 방향이 어느 쪽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조금이나마 담을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박 기자는 "어디로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 현재 교통이 차단된 도로는 어디인지 신속하게 알려주지 않았다는 비판은, 뻔한 소리를 했다는 자책감에 더 뼈아프게 다가왔다. '수신료의 가치를 보여드리겠다'는 포털 네임카드도 부끄러웠다"며 "온 국민의 이목이 쏠린 그 순간, 제 역할을 못 했다는 자책감은 2박 3일간의 출장이 끝나고 나서도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고 참회했다.

'재난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려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재난방송의 목적을 되새기고 준비해 재난방송의 목적에 더 가까운 방송을 할 수 있는 계기로 삼겠다는 게 박 기자의 성찰 결론이다.

박 기자의 반성처럼 KBS 강원 산불 재난방송은 화재 피해 상황과 확산 방향, 대피소 안내, 대응 요령 등 재난지역 피해자들에게 절실한 정보를 전달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13일 열린 KBS 이사회에서도 '재난에 대해 방송하는 게 아닌 피해자들이 재난을 피할 수 있도록하는 게 재난방송'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언론노조 KBS본부 역시 '정보'를 문제삼으며 KBS의 재난방송 시스템이 신속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KBS본부는 "산불 재난문자가 발송된 것은 오후 7시 51분이다. 하지만 KBS 춘천·강릉방송국이 재난 자막을 방송한 것은 1시간 뒤인 오후 8시 53분"이라며 "초기 정보 전달이 피해 예방의 관건이건만 KBS의 재난방송 시스템은 재난정보와 전혀 연동돼 있지 않다. 기자의 개인적인 취재 역량 혹은 연합뉴스와 같은 타 매체의 보도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임에도 재난당국과의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지 못해 '무늬만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였다는 비판이다.

또 언론노조 KBS본부는 화재 발생 시점에 비해 늦어졌던 첫 특보를 되짚으며 KBS가 재난방송이 이른바 '골든타임'을 놓쳤다고 평가했다.

이날 노보에서 언론노조 KBS본부는 "재난 당국 상황보고서에 따르면 오후 9시 30분까지 대피한 주민이 542명에 이른다. 9시 44분에는 사상 초유의 전국 총동원령인 소방대응 3단계가 발령됐다"며 최소한 10시부터는 정규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본격적인 특보 체제로 돌입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KBS의 특보 체제 돌입은 11시 25분이었다. KBS는 재난방송 메뉴얼에 따라 단계별 절차를 따랐다고 해명했지만 상황을 고려하면 '궁색한 해명'에 불과하다는 게 KBS본부의 지적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