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전혁수 기자] 지난달 20일 우고스 대표 강 모 씨가 사기·유사수신행위 등의 혐의로 징역 6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그런데 많은 언론이 우고스 홍보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저널리즘의 근본을 파괴하는 것이란 비판이 제기된다.

강 씨는 "세계 최고의 인터넷 쇼핑몰을 만들겠다"며 자금을 모집했다. 강 씨가 구상한 우고스 쇼핑몰은 물건을 결제한 후 게임을 통해 10%~90%까지 적립금 형태로 할인 환급해주는 방식이다. 강 씨는 우고스에 대해 설명하면서 1000, 3000, 5000만 원 단위로 투자금을 끌어모았고, 투자금의 20%는 모집책들이 나눠가졌다. 자금의 10%는 모집책, 나머지 10%는 상위 모집책들이 나눠갖는 형태로 전형적 다단계 수법이다.

▲우고스 로고. (사진=우고스 홍보영상 캡처)

검찰은 지난 2016년 사기·유사수신행위 등의 혐의로 강 모씨를 구속했다. 당시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강 씨는 지난 2014년 10월 9일부터 2016년 5월 13일까지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 등에 있는 영업장 등지에서 수시로 투자자 유치 설명회를 개최했고, 투자자들이 원하는 경우 원금은 언제든지 보장해 환급 수익금으로 지급해준다고 했다. 강 씨는 이러한 수법으로 약 228억 원의 투자금을 모집했다.

검찰은 강 씨의 행위를 전형적인 돌려막기로 판단했다. 검찰은 "수익금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후순위 투자자들의 투자금으로 선순위 투자자들에게 고율의 모집수당을 지급해 일명 '돌려막기' 방식으로 투자금을 사용하고 있었기 떄문에 자금사정이 필연적으로 악화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결국 피해자로부터 투자금을 받더라도 약정한 대로 투자 원금을 상환하거나 수익금을 지급할 의사나 능력이 없었다"고 했다.

강 씨는 재판이 길어지면서 지난 2016년 11월 구속기간 만료로 풀려났다. 그러나 강 씨의 사기행각은 계속됐다. 우고스 피해자들이 강 씨를 찾아가 원금 반환을 요구했고, 강 씨는 돈을 돌려주겠다고 각서까지 썼지만, 원금을 돌려주지 않았다.

강 씨는 사업내용을 수정해 사기 아이템을 '코인'으로 변경했다. 지난해 2월 한 우고스 피해자는 미디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지금도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며 "금액은 3200만 원이고 딜링코인 300만 개를 지급한다. 사람을 모집하면 수수료를 지급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언론은 지속적으로 강 씨의 우고스를 홍보했다. 홍보기사는 일간지, 통신사, 인터넷매체 등 매체 종류를 가리지 않고 쏟아져 나왔다. 언론이 사기 피해자를 양산하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조선일보의 우고스 홍보기사 목록 일부. (사진=조선일보 홈페이지 캡처)

'1등 신문' 조선일보는 조선일보 본지와 조선비즈, 스포츠조선 등의 명의로 우고스 홍보 기사를 작성했다. 조선일보는 강 모 씨가 구속기간 만료로 풀려난 지 2달 만인 지난 2017년 1월 <종합 온라인 쇼핑몰 우고스, '결제 후 추가할인' 쇼핑 방식으로 눈길>, <트라이그람스코리아-예스페이, 'YESPAY' 결제 플랫폼 서비스 도입> 기사를 시작으로, 2017년 11월에는 <세계 최초, 결제 후 추가 할인되는 쇼핑몰 오픈한다>, <'플랫폼 비즈니스 매니저' 교육과정 12월 개설>, 2018년 1월 <우고스 쇼핑몰, 입점 사업자 지원 위해 '페이백 서비스' 도입>, 2018년 4월 <우고스, 샤이블릭과 상호 제휴 및 업무 협력 추진>, <(주)트라이그람스코리아, 중국 대련 덕태상무비서유한공사와 업무 협약 체결> 등의 홍보기사를 작성했다.

조선일보 외에도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국민일보, 전자신문 등 일간지, 연합뉴스, 뉴스1, 뉴시스 등 뉴스통신사, 서울경제, 매일경제, 머니투데이, 헤럴드경제, 아시아경제, 이데일리 등 경제지, KNS뉴스통신, 아이뉴스24, 아이티데일리, 쿠키뉴스, 에너지경제, 디지털타임스 등 중소매체까지 우고스와 강 씨에 대한 홍보기사를 쏟아냈다.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부 교수는 "사람들이 언론에 보도가 돼 신뢰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업체에서도 그걸 갖고 가입자나 고객들을 설득하는 근거로 삼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특히 대개 기자들이 보도자료를 받으면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많고, 홍보대행사가 중간에 끼는 경우도 있다"며 "이러한 행위는 독자들이 정보를 잘못 알게 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연우 교수는 "언론의 신뢰성을 이용해 소비자를 기망하는 것이고 이런 문제는 날로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며 "진실한 것이 아니라 특정인이나 특정업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은 저널리즘의 근본을 해치고 파괴하는 행위로, 시민사회와 학계, 언론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사회 전반의 신뢰도가 낮은데, 언론에 대한 신뢰는 더 낮다. 이런 부분에서 기인한 것도 있다"며 "어떻게 신뢰를 높여 건강한 공론장과 저널리즘을 만들어갈지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우고스 홍보기사 목록. (사진=네이버 홈페이지 캡처)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