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고소득 계층과 저소득 계층의 소득 격차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소득 동향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득은 970여만 원이었지만, 하위 20%의 소득은 130만 원 수준에 그쳤다. 이에 대해 “빈곤층에 대한 복지가 부족하고, 상위층이 부를 독식하기 쉬워지는 구조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통계청은 가계소득 동향을 발표했다. 동향 결과 소득 상위 20% 가구의 수입은 1년 전보다 9% 가까이 상승했고,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7% 하락했다. 주거 비용, 세금 등 필수 고정비용을 제외한 소득을 비교하면 계층별 차이가 5.52배 이상 난다. 국제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5.45배)보다 더 격차가 큰 것이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소득 동향 주요 내용 (사진=연합뉴스)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은 23일 ‘cpbc 열린세상 오늘! 김혜영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상위 20%의 소득상승은 근로소득보다는 사업소득과 금융소득 증가가 더 눈에 띄었다”고 설명했다.

김윤영 국장은 “가진 사람들이 더 많이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 자체에 대한 변화와 소득 하위에 있는 사람에게 와닿는 복지정책이 없는 부분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윤영 국장은 “빈곤층이 접근할 수 있는 질 좋은 일자리가 없다”면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참여하는 자활사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시장화 되는 경향이 강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번 동향조사를 보면 고소득층의 정규직 비율은 75.3%에 달했지만 저소득층의 정규직 비율은 17.6%에 그쳤다. 김윤형 국장은 “질 좋은 일자리를 빈곤층에게 직접 공급하는 대책 같은 것들이 최근 몇 년 동안 계속 사라져 왔다”면서 “더 적극적인 일자리 정책과 안전한 일자리를 보장하는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득 격차가 금융위기 때보다 커졌다는 지적에 대해선 “금융위기 대책의 조치를 반성하는 방향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윤영 국장은 “금융위기 때보다 경제 상황이 어렵다고 파악하기보다는 금융위기 때의 조치가 잘못된 것이 없는지 라는 방향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영 국장은 “공공구조의 필요성에 대해서 좀 더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직접적인 개입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윤영 국장은 “복지지출이 더 늘어야 한다”면서 “빈곤층의 삶은 상당히 정체되고 복지대상자 선정기준도 2년째 너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