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부모님 두 분은 만주에서 만나셨다고 한다. 그곳에서 결혼해 일가를 이룬 두 분은 해방과 이어진 전쟁의 격변기에 아이들을 이끌고 남으로 내려왔는데, 시아버님의 형제분은 그곳에 남았고 시어머님의 동생분들은 고향인 북쪽에 머물렀다. 그리고 몇십 년 후 아버님의 동생분, 시숙부님과 그 식솔들은 '조선족'이 되었고, 시어머님은 '이산가족'이 되었다. 아마도 시아버님이 내려오지 않았다면 남편의 일가도 조선족이란 이름으로 지칭되었을 것이다. 한반도의 비극적 역사가 품은 슬픈 설화와도 같은 이야기. 하지만 그 비극은 현재로 오면 '편견'과 '사회적 문제'로 귀결된다. 그 역사와 현실의 행간에 대해 재중동포인 장률 감독이 '페이소스' 짙은 이야기를 건넨다.

사랑, 그 무너져버린 아집의 노래여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스틸 이미지

시작은 그렇다. 마치 홍상수의 영화를 보는 듯 사랑의 ‘수작', 그 와중에 있는 남자와 여자다. 이른 아침 군산 터미널, 윤영(박해일 분)과 송현(문소리 분)이 내린다. 이혼했다는 선배의 아내 송현에게 다짜고짜 윤영이 군산 행을 제안했던 것. 윤영 때문에 군산까지 왔다며 타박을 하지만 송현도 이혼의 잔영이 남은 서울을 떠난 것이 싫지 않은 눈치다. 윤영과 함께라 더더욱.

그렇게 막 시작하는 연인인 듯한 두 사람은 허름한 칼국수 집에서 나란히 앉아 식사를 하고, 송현이 먼저 쉬고 싶다며 민박을 수소문한다. 그렇게 찾은 민박집, 손님을 가려 받는다는 민박집에 다가선 두 사람을 CCTV가 먼저 맞이하고 문이 열린다. 응대하는 이는 늙수그레한 남자(정진영 분), 그에게 송현은 대뜸 우리 어디서 본 적이 있냐며 반색하고 윤영은 어쩐지 그 집에 들어서는 뒤가 무겁다.

아니나 다를까. 민박집에 들어설 때만 해도 설레던 커플이었던 두 사람은 민박집 주인 남자의 등장으로 삼각관계, 아니 노골적인 엇갈림이 시작된다. 방을 하나 더 잡으며 대놓고 윤영과 거리를 둔 송현은 남자로 인해 상처받은 자신을 치유해 줄 것 같다며 민박집 남자에게 노골적으로 접근한다. 그런가 하면 송현과의 밀월을 꿈꾸다 상처받은 윤영에게는 CCTV의 그림자가 다가서는데.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스틸 이미지

이 엇갈린 사랑의 계기 중 하나는 '일본'이다. 전라북도 북서부의 중심지인 군산은 전라도와 충청도 평야지대의 관문으로 일찍이 고려 말부터 잦은 왜구의 침입을 받은 이래, 일제시대 미곡 반출을 위한 도시로 급성장한 곳이다. 군산에 내리자마자 '일본 같다'며 반색하는 송현은 일본으로부터 왔다는 교포 민박집 남자에 대한 밑도 끝도 없는 호감을 이어간다. 거기에 자폐증인 딸을 돌본다는 그의 미담은 기댈 곳을 희망하는 윤영의 의지가지없는 마음을 부풀게 한다.

하지만, 그런 송현의 기대에 대해 윤영은 윤동주를 죽음에 이르게 한 일본이었다는 지적과 함께, 일본스러운 군산 곳곳에 상흔처럼 남겨진 일본 침략의 증거들을 보여준다. 군산의 역사는 의구하지만, 그곳에 관광객처럼 내려온 송현에게 군산은 그녀를 매료시키는 '일본' 같은 곳 그 이상이 아니다. 그런 그녀의 부푼 기대 뒤에 무거운 일본어로 고백하는 민박집 남자 아내가 죽음에 이른 사연과, CCTV의 주인공이던 민박집 딸(박소담 분)의 외사랑은 결국 밀월여행이던 송현과 윤영의 여행을 '파국'으로 이끈다. 역사로서의 일본과, 일본과 한국의 인연인 민박집 부녀, 그리고 그로 인한 오해의 장벽. 아니 어쩌면 대뜸 ‘일본스럽다’며 밑도 끝도 없는 설렘과 호감으로 시작한 송현의 섣부른 군산 여행이 자초한 당연한 결과이다. 그리고 그 파국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채 얽혀있는 '현재형'의 일본과 한국의 관계를 상징한다.

군산으로부터 온 거위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스틸 이미지

그렇게 일본과 한국의 ‘경계’로 등장한 군산, 하지만 그곳은 또 다른 ‘인연’의 시작이다. 군산 터미널에 내려 익숙해하던 윤영, 서울로 돌아와 다시 시작되는 에필로그이자 어쩌면 주제가 되는 이야기가 닿는 지점은 ‘윤영은 왜 군산에 갔을까’이다.

말이 시인이지 시를 쓴 지가 어언 10년, 사업 하던 아버지에게 용돈이나 타 쓰는 허우대 멀쩡한 백수 신세인 윤영. 그러나 그와 아버지는 한 집에 살면서도 남이나 다름없는 관계이다. 그도 그럴 것이 연변 출신 도우미에게 대놓고 빨갱이라 욕을 해대고, 아직도 해병대 옷을 입고 전우회에 출근하며, 밤이면 그녀의 방 손잡이를 들썩이는 전형적인 꼰대 아버지에게 그 누구라고 정을 붙이겠나. 그런 윤영의 마음은 귀가 들리지 않는 아버지의 친구 분께 '돌아가셨다'라는 농 속에 진담처럼 깃든다.

그런 아버지가 마당에서 기르는 거위에게 '영아'라며 말을 건넸다며 치매를 걱정하는 도우미의 말을 듣고 그는 아버지가 계시는 전우회에 수박과 참외를 사들고 찾아간다. 그리고 송현과의 밀월을 핑계로 군산을 찾아간다.

윤영을 ‘영아’라고 부르던, 잘 웃으셨다던 어머니의 고향 군산. 그런데 윤영은 어릴 적 중국인 친구를 둔 아버지 때문에 화교학교를 다니고, 술이 취해 '거위를 노래하다(咏鹅)를 불러제끼며, 거리에서 연변 동포 시위자의 진위를 대번에 알아볼 만큼 '연변'말에 해박하다.

그런가 하면, 알고 보니 도우미 아주머니의 고향이 윤동주 시인의 고향이었으며 윤동주 시인과 인척관계라는 사실에 친척이라도 만난 양 반색하며 두 손을 잡고, 다니던 치과의 하룻밤을 빌어 저 멀리 윤동주 시비를 지켜본다. 과연 그에게 익숙한 연변어와 친숙한 중국어, 그리고 윤동주 시인에 대한 반가움 이상의 울컥함은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일까? 군산이 고향이라던 그의 어머니는 어떤 분이셨을까? 송현이 말하던 윤영의 어중간함은 어디로부터 비롯된 것일까?

한중일 식민지 트라우마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스틸 이미지

두 남녀의 사랑의 수작을 날실로 엮어 군산과 서울을 오가며, 장율 감독은 전작 <춘몽>, <경주>, <이리>처럼 지정학적 공간을 배경으로 그곳에 머무는 인간들의 과거와 현재를 더듬는다. 그리고 그 궁극에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라는 지리적 공간을 배경으로 흩어진 '한민족'의 서로 다른 운명이 빚은 아이러니한 관계를 짚는다.

윤동주가 작은 할아버지여도 그곳을 떠나지 못하고 살아 오늘날 ‘빨갱이’ 소리를 들어야 하는 도우미. 연변동포 시위에 적극 가담하면서도 정작 자신을 중국 동포로 착각하는 아줌마에게 참을 길 없는 불쾌감을 표명하는 한때 '운동권' 여성. 그리고 그 여성이 무한히 호감을 표명하는 일본스러움과 일본에서 돌아온 재일동포는 2018년에도 지속되는 한중일 관계의 비극성을 드러내 보인다.

왜 우리는 우리를 식민지로 삼은 일본에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의적인 반면, 중국이나 중국 동표에게는 '빨갱이'라며 낮잡아 보는 걸까? 6.25전쟁에 참전했던 역사적 기억 때문일까? 거기엔 유선영 교수가 정의내린 '식민지 트라우마'의 깊은 상흔이 있다. 일본이 서구 열강의 상징과도 같은 문명으로 조선을 강타하고 식민지로 만들었던 때의 그 압도적 열패감. 일본이 만주로 중국으로 식민지 전쟁을 확대했을 때 거기서 빚어진 일본에 이은 이등국민으로서, 삼등 혹은 식민지민 중국인을 바라봤던 상대적 우월감, 혹은 민족주의적 히스테리가 유구하게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심지어 여전히 미국과 어깨를 겨루는 중국을 호시탐탐 싸구려나 만드는 나라로 얕잡아 보는.

하지만 그런 우리의 ‘허위의식’은 지정학적 조건으로 규정된 얽힌 인연 모두를 타자로 만든다. 밤을 도와 비로소 백화의 칼국수 집을 찾아 웃으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민박집 딸처럼, 혹은 어머니를 아내를 대놓고 드러내어 그리워하지 못하는 윤영와 그의 아버지처럼, 일본이든 한국이든 혹은 중국이든 그 모든 인연을 정착하지 못한 이방인으로 만든다.

어쩌면 정답은 일찍이 <삼포 가는 길>에서, 술집에서 도망쳐 영달이 사준 삼립빵 2개와 달걀 2개를 받고 고향으로 떠났던 그 백화가 백발의 백화(문숙 분)로 어찌어찌하여 군산 한 귀퉁이에서 일어까지 유창하게 구사하며 ‘머무는 곳이 고향’이라며 탁배기 잔을 기우는, 그 쓸쓸한 정의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마치 유행가 가사의 한 구절처럼. 그러나 우리는 유행가도 아는 그 사실을 떨쳐내지 못한 채 여전히 각자의 가슴에 낙인처럼 떠나온 곳의 이름표를 다는 것을 멈추지 못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