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가짜뉴스 근절을 위해선 단순히 정보의 진위여부를 가리는 것 뿐 아니라 진위 여부 판정의 투명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네이버·구글·페이스북 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책임지고 가짜뉴스 근절에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저널리즘 원칙과 팩트체크' 토론회에서 박아란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투명성 확보가 가짜뉴스 근절의 핵심이라고 제언했다. 박아란 연구위원은 “(가짜뉴스의) 사실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규제의 목적이 되어선 안 된다”면서 “온라인에서 판정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네이버·구글 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역할도 지적했다. 박아란 연구위원은 "온라인 콘텐츠의 매개자인 플랫폼 사업자들이 절차에 관한 책임, 즉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공정성, 불법정보의 신고 및 처리 절차를 개선하고 그에 대해 적절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아란 연구위원은 진실한 정보 확산의 방법으로 팩트체크 활성화를 주장했다. 박아란 연구위원은 “한국의 SNU팩트체크센터가 하는 일처럼 정보 자체의 진실성 여부를 가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가짜뉴스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각국이 가짜뉴스와 관련된 대응방안을 내놓고 있다. 체코의 포털은 가짜뉴스로 인해 경제적 이익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사이트에는 광고를 제공하지 않는다. 노르웨이는 대형 언론사가 연합해 만든 팩트체크 기관 Faktisk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영국은 정부 보고서 발행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독일은 플랫폼 사업자가 테러 조장, 혐오 발언을 삭제하지 않으면 5천만 유로까지 벌금 부과하는 네트워크시행법을 시행 중이다. 특히 페이스북은 독일어로 작성된 불법 콘텐츠 조사와 삭제를 위해 천여명의 직원을 채용했다. 다만 표현의 자유 측면과 관련해 독일 내에서 많은 반발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