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이 ‘가짜 뉴스(허위정보)’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뉴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 기업이 갖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김성수 의원이 11일 공개한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은 네이버·구글 등의 인터넷 기업이 가짜 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귀하는 인터넷 기업이 가짜 뉴스(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응답자의 69.4%는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20.8%, 그렇지 않다 48.6%)’라고 답했다.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18.6%, ‘잘 모르겠다’는 12%였다.

▲국내외 주요 포털 사이트 CI (사진=네이버, 다음, 구글, 줌 홈페이지 캡쳐)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3.7%에 달했다.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허위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는 것이다. ‘잘 모르겠다’는 35.8%, ‘그렇지 않다’는 20.5%였다.

인터넷 기업이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언론사의 콘텐츠를 배제해야 한냐는 질문에 71.1%는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21.3%였다. 가짜 뉴스의 책임은 언론사에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언론사의 가짜 뉴스(허위정보)가 인터넷 기업을 통해 유통되었다면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나요?”란 질문에 응답자의 52.3%는 언론사·제작자, 33.9%는 인터넷 기업이라고 답했다. 이용자는 9.4%, 정부는 4.4%로 조사됐다.

포털의 AI 알고리즘 기술을 적용한 뉴스 배열에 대해선 부정적 의견이 주를 이뤘다.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뉴스 제공 방식을 선호한다는 응답자는 17.7%에 불과했다. 모든 이용자에게 같은 뉴스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59.6%, 둘 다 상관없다는 응답은 22.7%였다.

뉴스 배열의 방법과 원칙에 대해선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66.2%에 달했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23.2%였다. 인터넷 기업이 뉴스 매체와 같은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응답은 79.1%였고, 그렇지 않다는 답변은 14.8%였다.

김성수 의원은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이 서비스를 개선함에 있어 정치적 이슈에 휘둘리기보다 이용자의 선호와 편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면서 “뉴스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 기업이 갖는 사회적 역할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27일까지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0%p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