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자와 두 남자가 있다. 주인공 종수(유아인 분)는 어릴 적 고향 친구인 해미(전종수 분)를 사랑하지만 사랑한다는 고백을 하기도 전에 모든 걸 다 가진 남자 벤(스티븐 연)이 나타난다.

이창동 감독은 이청준의 <벌레이야기>를 영화로 만들되 원작을 전부 영상으로 옮기지 않고 재해석을 통해 <밀양>을 만든 적이 있다. 이창동 감독은 이번 영화를 만들기 위해 무라카미 하루키의 <헛간을 태우다>를 가져오되, 이번에도 원작을 고스란히 영상으로 옮기지 않고 모티브만 따와서 새로운 이야기로 재해석하고 있다. <헛간을 태우다>보다 이야기의 층위가 다양하고 두터워졌다.

영화 <버닝> 스틸 이미지 ⒸCGV아트하우스

하지만 자세한 분석을 하다가는 스포일러를 피할 방법이 묘연해지고 만다. 이에 필자는 ‘리틀 헝거’와 ‘그레이트 헝거’라는 도식으로 이 영화의 세 남녀를 분석하고자 한다.

‘리틀 헝거’와 ‘그레이트 헝거’는 해미가 아프리카 여행 중 만난 부시맨들이 사용하는 사회적 개념이다. ‘리틀 헝거’는 욱체적인 굶주림에 직면한, 말 그대로 먹을 것이 필요한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다. 하지만 ‘그레이트 헝거’는 음식만으로 허기를 달래는 차원의 굶주린 이가 아니다. ‘삶의 의미’라는 정신적인 층위의 주림을 해결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다.

해미가 언급한 ‘리틀 헝거’를 영화 속 세 인물에 대입해 본다면 벤이 ‘리틀 헝거’에 가깝다. 벤을 외양적으로만 본다면 모자란 것이 없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의 내면을 보면 ‘일차원적인 굶주림’에 직면한 사람이다.

한 여자에 만족할 줄 모르고 항상 새로운 여자를 갈구하는 일차원적인 리비도(libido)에 집착한다. 또한 벤은 파괴적인 충동을 갖고 있다. 두 달에 한 번씩 비닐하우스를 불태워야만 직성이 풀리는 인물이다. 정신적인 승화(昇華)를 모른 채 물질적인 분출 욕구에 집착하는 벤은 ‘리틀 헝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영화 <버닝> 스틸 이미지 ⒸCGV아트하우스

종수의 고향 친구 해미도 ‘리틀 헝거’에 가까운 캐릭터다. 많은 영화가 ‘가족주의’를 절대적인 가치관으로 설파하지만 이창동이 만든 많은 영화에서는 가족주의를 칭송하기는커녕 해체하기 일쑤다.

<초록물고기>에서 한석규는 온가족이 오순도순 모이는 가족주의라는 환상을 갖지만 영화는 이를 처참하게 깨부순다. <밀양>에서 전도연은 남편이 죽은 것도 모자라 하나밖에 없는 아들을 잃어버린다.

<버닝> 속 해미도 마찬가지다. 가족에게 카드빚을 떠안긴 채 책임질 생각은 하지 않는다. ‘책임’은 정신적으로 성숙한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용기 있는 행동이다. 해미가 겉으로는 부시맨의 ‘그레이트 헝거’ 의식을 흉내 내고 춤추지만, 해미의 속사람 가운데에는 책임질 줄 아는 성숙한 내면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정신적인 탈출구를 찾기 위해 나레이터 모델로 모은 돈을 아프리카 여행에 쓸 줄은 알지만, 가족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긴 카드빚에 대해서는 나 몰라라 하는 미성숙한 태도를 보이는 해미는 ‘리틀 헝거’에 다름 아니다.

영화 <버닝> 스틸 이미지 ⒸCGV아트하우스

유아인이 연기하는 종수는 벤과 해미에 비해 ‘그레이트 헝거’에 가까워 보인다. 종수의 가족은 해미의 사례와는 달리 ‘해체’에 가까운 가정이다. 어머니는 오래전에 집을 나갔고, 아버지는 분노조절장애로 폭행 재판을 받는 중이다.

정신적으로 기댈 가정이라는 안식처를 상실한 종수에게 남은 마지막 정신적인 안식처는 해미다. 사랑하는 해미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종수의 모습은 가족이라는 마지막 보루를 잃어버린 한 청년의 분투기다.

만일 종수가 벤처럼 ‘리틀 헝거’다운 인물이었다면 종수는 이름 대신 번호로 불리는 비인격적인 아르바이트 현장에서 인격적인 대우를 포기하고 돈을 벌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종수는 그런 비인격적인 사업장을 뛰쳐나와 해미를 찾는다.

종수가 ‘리틀 헝거’적인 인간이었다면 비인격적인 사업장이라는 자본에 종속되었을 텐데, 종수는 이런 자본의 포획 안에 자신을 가두는 것을 포기하는 ‘그레이트 헝거’가 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