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한반도 신경제 구상이 담긴 USB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김진향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 이사장은 남북간 경제 협력의 고도화가 평화시대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열린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김 위원장에게 신경제 구상을 담은 책자와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건네줬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리젠테이션 영상은 USB에 담겨 김 위원장에게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한반도 신경제 지도'를 공약한 바 있는데 이를 구체화한 자료가 건네졌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ㆍ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진향 이사장은 USB에 담긴 내용이 남북간 경제협력 방안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이사장은 "비핵화, 종전선언, 평화협정 등 이 모든 것들은 하나의 궁극적인 지향을 찾아간다. 경제 협력의 고도화"라며 "신경제 지도 구상의 핵심은 남북을 통일경제로 가져가자는 것이다. 그것을 바탕으로 동북아를 평화와 경제의 공동체로 묶어 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낸 백서를 보면 '한반도 신경제 지도 구상'은 3대 경제벨트를 이어 H형태로 개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목포-수도권-개성공단-평양-신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부산-원산-단천-청진-나선을 연결하는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 'DMZ 환경·관광벨트' 등 총 3대 경제벨트를 잇는 남북 공동 경제개발 구상이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남북간 평화 무드가 무르익으면서 '신경제 지도 구상'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동아시아를 하나의 바다로 본다면 남과 북은 그 정중앙에 있다"면서 "이 구상은 H구상인데 환동해 경제권, 환황해 경제권, 그리고 접경지역 DMZ 평화벨트를 중심으로 하는 H자가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에너지·자원 벨트인 '환동해 경제권'에 대해 예를 들며, 러시아의 가스를 직접 갖고 들어오게 되면 현재 가스비의 25%수준에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 외에도 철광석 등 북한에 매장돼 있는 자원들을 가져올 수 있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물류 벨트인 '환황해 경제권'에 대해서는 "철도는 산업에 있어서 혈맥"이라며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한반도종단철도인 TKR(Trans-Korea Railroad)이 기능하게 되면 화물 유통과 관광 인구의 유입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북측은 우리에게 3~40년의 엄청난 시장"이라며 SOC 사업 시장만 봐도 '엄청난 시장'이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북측의 도로를 남측 도로율의 70%까지 올리는데 1052조가 들어간다"며 "1052조란 금액은 80년대 초반 중동특수의 100배"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