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국회의원 시절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돈을 받아 해외 출장을 다녀와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김 원장이 재차 사과에 나섰다. 김기식 위원장은 “국민 눈높이에서 볼 때 지적받을 수 있는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죄송한 마음”이라며 “로비는 전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김 원장이 의원 시절 “기업의 돈으로 출장 가서 자고, 밥 먹고, 체재비 지원받는 것 이거 정당합니까?” 등의 발언한 사실이 있어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기식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자리에 앉으며 머리를 쓸어 넘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기식 원장은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자신과 관련된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김 원장은 국민께 죄송하지만, 로비는 아니었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김 원장은 “19대 국회까지는 조금 관행적으로 이루어진 부분들이 있다”며 “그런데도 관행이었다고 해서 국민의 따가운 질책을 피하고자 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출장 뒤에 대외경제연구원이 원했던 유럽 사무소 예산을 전액 다 삭감을 했다”며 “USKI와 KEI라고 하는 대외연구원이 각각 약 25억씩 지원하던 기관에 대한 예산안도 추가 삭감을 했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대가와 관련된 것보다는 오히려 더 엄격하게 했다”고 말했다.

우즈베키스탄에 출장 간 것이 한국거래소의 지주회사 관련 법안 로비가 아니었냐는 주장에 대해선 “내가 간 시점 뒤 1년 4개월이나 지나서야 한국거래소에 있던 지주사 전환 문제가 공론화됐고 1년 6개월 지나서 법안이 나왔다”며 “전혀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오히려 그 뒤에도 법안에 대해서는 원안 통과에 반대했기 때문에 이번 출장과 로비 문제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김 원장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면 피감기관의 돈을 지원을 받아서 외유한 것과 관련해서 지적하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어떤 경우에도 로비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자신에 대한 확인 때문에 스스로를 경계하는 것이 의원 시절 조금 느슨해졌던 게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한다”며 “관행이 있었다 하더라도 제가 스스로 더 경계했어야 했다”고 밝혔다.

인턴 논란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원장은 “대학을 갓 졸업한 분이 아니고 대학원 석사를 졸업했던 분”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인턴이 7급으로 초고속 승진했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선 “보통 의원이 임기를 마치기 1년 안에 있을 때 결원이 생기면 외부에서 채용하기보다는 내부에서 승진을 시킨다”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원장이 의원 시절 김영란법에 대해 엄격한 입장을 보였다는 점에서 논란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김 원장은 2014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한국정책금융공사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김 원장은 “공사 임직원들이 2013~2014년 간 25건의 해외 출장에서 기업의 지원을 받았다"며 ”지원을 받고자 하는 기업과 이를 심사하는 직원 관계를 볼 때 기업 돈으로 출장 가서 자고 밥 먹고 체재비를 지원받는 게 정당한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영란법에 대해선 “이 법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접대, 로비 문화를 정비하자는 취지로 놓고 보면 고위공직자로 제한할 경우 김영란법 제정 자체가 의미 없어진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해임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의원 외교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거나, 관련 기관의 예산이 적정하게 쓰였는지 현장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야당이 일제히 비판에 나서고 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9일 김기식 원장의 임명 철회를 요구했다. 특히 권은희 바른미래당 의원은 ‘김기식 방지법’으로 명명한 부정청탁금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도 비판에 가세했다. 조배숙 민주평화당 최고위원은 “(이 문제를) 적폐 청산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혜선 정의당 대변인은 “개혁의 칼을 들어야 하는 입장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흠결을 안고 제대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 원장은 삼성증권의 우리사주 배당사고에 대해서 "직원 개인의 실수가 아닌 시스템상의 문제"라며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제도 개선보다 피해자 구제가 먼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증권의 잘못이 명확하니 서둘러 배상 대책의 기준을 만들라고 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