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16일) 오전 “BBK는 내가 설립했다”는 이명박 대선후보의 발언이 담긴 동영상이 공개됐다. 이날 오후엔 동영상을 보고받은 노무현 대통령이 검찰 재조사 지시를 내렸다. 오늘자 아침신문의 1면 머리기사는 모두 이 내용을 다루고 있다.

경향신문 <노, 재수사 지시…이, 특검 전격 수용>
동아일보 <노, 사상 첫 ‘재수사 재휘권’ 지시>
서울신문 <이명박 후보 “BBK특검법 수용”>
세계일보 <이 후보 ‘BBK특검’ 전격 수용>
조선일보 <이명박 “특검법 수용” 전격 발표>
중앙일보 <이명박 BBK동영상 최후의 전쟁>
한겨레 <이명박 동영상 파문>
한국일보 <이명박, BBK특검 전격 수용>

하지만 오늘자 아침신문의 보도는 무게중심이 두 갈래로 나뉘었다. ‘이명박 후보의 육성이 담긴 동영상’ 자체에 주목해 “BBK 실체를 밝히라”고 주문한 쪽(경향신문과 한겨레)과 노 대통령의 지시는 정치적으로 옳지 않다며 ‘사건의 곁가지’에 주목한 쪽(여타 신문들)이다.

▲ 한겨레 12월17일자 1면.
경향신문은 1면 머리기사 <이명박 “BBK설립” 동영상 공개 파문>에 이어 3면에서 광운대 특강 동영상에 담긴 이 후보 발언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한겨레는 1면 머리기사 <이명박 동영상 파문>에서 ‘2000년 10월 광운대 특강’ 동영상 화면과 함께 이 후보의 발언을 보도했다.

경향 한겨레만 주목한 'BBK 동영상' 실체

한겨레는 사설 <거짓 밝혀내야 할 ‘이명박 특검’>에서 “동영상에서 스스로 밝힌 대로 이 후보가 비비케이를 실질적으로 지배·소유하고 있었다면, 지금까지의 해명은 모두 거짓말이 된다”며 “제대로 된 특검 수사를 통해 진실을 규명하라”고 주문했다.

▲ 경향신문 12월17일자 4면.
경향신문도 사설 <‘BBK 의혹’ 특검이 밝히는 수밖에 없다>에서 같은 주장을 했다.

한편 서울신문은 지면에서는 ‘BBK동영상’ 자체 내용보다 ‘정치권의 공방, 특검 수용 후 수사 전망’ 등을 비중있게 다뤘으나 사설 <‘BBK 동영상’ 진실은 뭔가>에서 “이명박 후보가 BBK를 설립한 것이 아니라면 광운대 강연에서 왜 그와 같은 내용의 발언을 했는지 이 후보 스스로 석명하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 둘을 제외한 오늘자 아침신문들은 주로 ‘BBK동영상’보다 ‘이명박 후보의 특검 수용’ ‘노대통령의 지시’와 같은 사건의 곁가지에 방점을 찍었다.

문제의 본질인 ‘BBK동영상’을 조선일보는 4면 하단, 중앙일보는 3면 하단에 실어 ‘BBK동영상’을 축소 보도했다. 다른 신문들도 동영상 자체의 내용보다 이를 둘러싼 신당과 한나라당의 정치 공방, 국회에서 있었던 난투극 등을 더 비중있게 다뤘다.

세계일보는 4면에서 ‘BBK동영상 공개 흐름도’를 소개해 ‘BBK동영상의 내용’보다 동영상이 공개된 배경에 더 집중했다.

대다수 신문, '동영상 본질'보다 정치권 공방중심으로 보도

동아일보는 3면 <재수사 카드로 특검 압박…대선 한복판 ‘노풍’> 5면 <영상물 제작 공갈미수범, 사채 빚 쪼들려>을 통해 ‘노대통령의 정치적 중립성’을 비판하거나 BBK동영상을 가지고 있었던 피의자들에 집중했다. 또 사설에서는 “신당과 이회창 후보 측 인사들이 김경준이라는 사기범만으로도 부족해 이젠 공갈미수범까지 동원한 셈이다. 거기에 현직 대통령까지 뛰어들었다”고 ‘노골적’으로 이명박 후보의 편을 들었다.

▲ 동아일보 12월17일자 6면.
세계일보와 한국일보도 각각 사설을 통해 “동영상에서 이 후보의 발언이 의혹을 살 수 있는 말이긴 하나 일방적 해석은 금물”이라며 “대통령의 검찰 재수사 지시는 무책임한 정치행위”라고 비난했다.

한편 중앙일보는 사설 <BBK사태, 결국 특검으로 가나>에서 “BBK동영상에서 이후보의 발언은 너무나 적나라하고 명백한 것이어서 많은 유권자가 의혹을 갖기에 충분하다”는 의견을 냈다.

하지만 정작 중앙일보는 지면보도에서 BBK동영상의 내용을 비중있게 다루진 않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