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대선을 13일 앞두고 본격적인 TV 합동토론의 막이 오르면서 후보들의 정책과 자질 검증이 충분하게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선관위가 주최하는 3차례의 TV 합동토론은 6일 밤 8시부터 2시간 동안 KBS와 MBC의 생중계로 첫 방송된다.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이명박 한나라당, 권영길 민주노동당, 이인제 민주당, 문국현 창조한국당, 이회창 무소속 후보 등 6명이 한 무대에 서는 첫번째 자리다.

6명 대선 후보 첫 합동토론…'BBK 무혐의' 둘러싼 공방 예고

무엇보다 이명박 후보 관련 BBK 사건의 검찰 수사 결과가 발표된 직후인 만큼 BBK 의혹의 실체와 검찰 수사의 공정성 문제를 둘러싸고 후보들 간의 치열간 공방이 펼쳐질 전망이다. '무혐의' 판정이 내려진 BBK 사건을 놓고 이명박 후보 대 나머지 5명의 후보로 대결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도 높다.

합동토론의 존재 이유이자 역할인 '정책 대결과 비교 검증'의 실효성 여부도 관심이다. 그러나 6명의 후보자가 2시간 동안 4개 분야를 주제로 토론을 해야하는 데다 사안마다 1분30초~2분의 발언시간이 주어지고 후보별로는 20분의 시간이 할당되기 때문에 심층 토론을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란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이번 TV 합동토론은 6일 정치·통일·외교·안보 분야를 주제를 시작으로 11일에는 사회·교육·문화·여성 분야, 16일에는 경제·노동·복지·과학 분야를 주제로 모두 3차례 열린다.

후보별 발언 시간 20분…정책대결 심층토론 가능할까

TV 합동토론 참석 기준은 △국회 의석수 5석 이상 정당의 후보자 △직전 선거에서 득표율 3% 이상을 기록한 정당의 후보자 △여론조사에서 5%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한 후보자 등이다. 이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후보들은 오는 13일 밤 11시부터 2시간 동안 별도의 합동토론회를 갖게 된다.

이밖에도 SBS 등 전국 민영방송들도 지난 5일부터 6차례에 걸친 대선후보 검증 토론을 시작했다. 전국민영방송협회가 주최하는 대선후보 검증토론회에는 5일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를 시작으로 7일 이인제 민주당 후보, 9일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 10일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12일 이회창 무소속 후보, 14일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차례로 출연한다.

▲ 12월 5일 SBS <8뉴스>
한편 선관위 주최 TV 합동토론의 생중계 문제를 둘러싸고 방송사들이 신경전을 벌이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SBS는 이번 TV 합동토론을 생중계하기 위해 KBS와 MBC에 협조를 요청했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 5일 <8뉴스>에서 이를 문제삼고 나섰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KBS와 MBC는 의무적으로 TV토론을 중계해야 하지만 민영방송은 희망할 경우 중계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방송중계의 기술적인 이유 때문에 KBS와 MBC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해 SBS는 이날 <8뉴스>에서 "(SBS의 중계 방침이 무산된 것은) 토론방송을 제작하는 공영방송이 선거방송토론위원회의 협조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인데 유권자의 알권리를 외면한 처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SBS 등 민영방송, KBS·MBC 비협조로 생중계 무산 "국민 알권리 외면했다"

SBS는 "선거방송토론위에 공문을 보내 생중계 의사를 여러차례 밝혔고 선거방송토론위는 지난달 16일 SBS에 회신을 보내 중계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선거방송토론위는 토론방송을 제작하는 KBS와 MBC에도 공문을 보내 협조해주도록 통보했지만 두 방송사는 법률상 의무가 아니라며 협조 요청을 거부해 결국 SBS의 합동 토론회 중계 계획은 무산됐다"고 밝혔다.

KBS와 MBC는 SBS의 비판 보도에 따로 대응을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지만 유권자 알권리를 외면했다는 SBS의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KBS 선거방송프로젝트팀 한 관계자는 "공영방송은 대선과 지방선거, 총선 때마다 선관위 주최 TV토론 뿐만 아니라 후보들의 정강 정책 연설방송까지 방송해야 하는 모든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며 "SBS는 공영방송이 의무적으로 해왔던 기타 다른 방송에는 관심이 없다가 시청률이 나오고 광고가 붙을만하니 이번 TV토론만 생중계하겠다는 것인데 우리가 이에 의무적으로 협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KBS와 MBC가 전국적으로 나오지 않는 곳은 없다. 따라서 SBS가 주장하는 국민 알권리나 접근성 문제 역시 실효성이 없다. 오히려 모든 방송사가 다 생중계하면 전파낭비라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